모바일 버전으로 보기

픽스터 분석(해외축구)

9월 13일 분데스리가 프라이부르크 슈투트가르트

Lv.70 손흥민
2025.09.12
댓글0
좋아요0
조회26


프라이부르크

4-2-3-1.

휠러: 순간 침투·결정적 타이밍으로 배후 위협, 1-2 패스 연계로 박스 접근 속도를 높입니다.

그리포: 왼발 킥(세트·크로스)으로 기대값 제조, 정지 상황 한 방이 흐름 전환 카드.

에게슈타인: 전진 패스·압박 회피로 템포 조율, 왕성한 커버로 공수 연결 안정.

구성: 휠러–에게슈타인 패턴을 중심으로 중앙-측면을 유기적으로 전환, 세트피스 비중이 높은 편.


슈투트가르트

4-2-3-1.

데미로비치: 제공권·포스트 플레이 강점, 넓은 활동 반경으로 2선 합류 각을 열고 세컨드 득점을 유도.

볼테마드: 영리한 무브–데미로비치와의 스위칭으로 CB 매칭을 흔듭니다.

르웰링: 측면 스피드·전방 압박으로 템포를 끌어올리고, 빠른 전개로 블록을 흔듭니다.

구성: 강한 1선 압박+스위칭 패턴으로 수비라인을 지속 교란.


수비·조직력 비교


프라이부르크

더블 피벗의 간격 관리로 중원 안정감, 다만 오픈플레이에서 창출 볼륨이 막힐 때 세트 의존도가 높아집니다.

전환 수비는 규범적이나, 측면 풀백 전진 뒤 채널 케어가 늦어질 수 있음.


슈투트가르트

전방 압박 후 중원 회수는 빠르지만, 과감한 라인 상승 시 배후 공간 리스크가 내재.

세컨드볼 수비는 양호하나, 측면 1대1이 길어지면 파울/세트 허용 빈도 증가.


상성 디테일


중앙 링크 vs 스위칭

프라이부르크는 에게슈타인 출발의 전진 패스로 하프스페이스를 연 뒤 그리포의 킥으로 마무리 각을 만듭니다.

슈투트가르트는 데미로비치-볼테마드 스위칭으로 CB의 시선을 분산, 르웰링의 속도로 외곽을 찌르는 구조.


전환 공방

프라이부르크가 1차 압박을 넘길 때 휠러의 대각 침투가 유효하나, 슈투트의 하이프레스가 먹히면 롱으로 몰릴 소지.

슈투트가르트는 과상승 시 그리포 세트·트랜지션 한 방 역습에 취약.


세트피스


프라이부르크: 그리포 킥 품질로 xG 상향(니어 스크린–세컨드 웨이브).

슈투트가르트: 데미로비치 타깃으로 직결 위협, 리스타트 속공 패턴도 보유.

리스크/변수


프라이부르크가 좌우 전환 속도를 끌어올리면 슈투트의 전방 압박 강도가 저하될 수 있음.

슈투트가르트가 초반 강한 압박으로 빌드업을 봉쇄하면 프라이부르크의 공격 경로가 세트 중심으로 편향.

조기 선제/퇴장·PK 등 게임 스테이트 급변 시 한쪽으로 기울 수 있으나, 기본 게임플랜은 서로 읽힐 가능성이 큼.

예상 경기 흐름


전반

템포 높은 공방. 슈투트가르트가 전방 압박으로 주도권을 시험, 프라이부르크는 그리포 세트 중심 응수.

유효 찬스는 양 팀 1~2회씩 분배될 가능성.


후반

압박 강도 하락 후 프라이부르크의 연결(에게슈타인 축) 비중이 커지고, 슈투트는 교체로 스피드 유지.

세트피스와 전환 한두 장면이 승부처.


예상 스코어


1-1 무승부 (차선 2-2 / 0-1)


최종 코멘트


양 팀 모두 플랜A 의존도가 높아 공수 패턴이 서로에게 읽힐 확률이 큽니다. 프라이부르크는 휠러–에게슈타인–그리포 축, 슈투트가르트는 데미로비치–볼테마드 스위칭+르웰링 속도로 맞붙는 구도에서, 세트피스/전환 한 방을 주고받는 ‘장군·멍군’ 흐름이 유력합니다. 누적 기대값은 대체로 균형에 수렴해 무승부 가능성이 높습니다.


추천 팁: 무승부, 언더 3.0(보수적), 양팀 득점 YES 변동(세트피스 변수 고려)


좋아요
0
싫어요
0
좋아요0
싫어요0
K플레이의 픽스터 분석 카테고리 글
픽스터 분석 더보기 0/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