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바일 버전으로 보기

픽스터 분석(해외축구)

9월 13일 분데스리가 유니온베를린 호펜하임

Lv.70 손흥민
2025.09.12
댓글0
좋아요0
조회20


우니온 베를린

5-3-2. 두터운 블록을 유지하다 롱패스–세컨드 전개로 즉시 전환.

일리치: 포스트 플레이·제공권으로 후방 롱패스의 안정적 연결 고리. 세컨드 상황에서 2선 합류를 열어줍니다.

안사: 폭발적 속도로 배후를 찌르는 직선 침투가 핵심. 라인 흔들기·프리런으로 역습의 질을 끌어올립니다.

케디라: 중원 밸런스·차단+압박 해제, 첫 전환 패스 정확도로 역습 시퀀스 스타터.


호펜하임

4-3-3. 점유 기반 전개를 지향하나 원정에서 라인 간격이 벌어지며 전환 취약.

렘펄: 측면 폭 확대·스피드 장점, 다만 수비 전환 집중력 저하로 배후 노출.

아슬라니: 빌드업·전개 패스 정확하나 하이프레스 강도 상승 시 흔들림.

아브둘라후: 활동량·피지컬로 공간 활용, 고립되면 존재감 급감.


수비·조직력 비교


우니온 베를린

로우/미드블록 전환이 유연, 박스 보호·세컨드 회수 안정. 홈에선 집중력·라인 조율이 상위권.

측면으로 유도 후 탈취→직선 전환 루틴이 명확.


호펜하임

라인 상승 시 배후 채널(풀백 뒤·CB 옆) 관리 취약.

전방 실패 압박 뒤 미드–수비 간격이 벌어져 역습 대응이 늦어지는 패턴.


상성 디테일


롱패스 연결 vs 하이 라인 배후

우니온은 일리치 타깃 롱패스→케디라 1·2패스→안사 대각 침투로 CB–FB 사이 채널을 정조준.

호펜하임은 점유 우세를 가져가도 전환 방어가 느려, 단발 역습에 고효율 실점 리스크.


측면 전환

호펜하임이 렘펄로 폭을 넓히면, 우니온의 윙백/옆 CB가 압박–차단 후 곧바로 안사에게 대각 전환.

아슬라니가 압박에 갇히면 안전 패스 증가→전개 속도 하락.


세트피스


우니온: 롱스로·플릭온(일리치)–세컨드 슈팅 루트 유효.

호펜하임: 킥 질은 무난하지만 박스 내 매치업에서 우니온의 박스 보호가 한끗 우위.

리스크/변수


조기 선제(호펜하임) 시 우니온이 블록을 올려야 하는 국면에선 상대의 좌우 폭 전개에 노출 위험.

반대로 우니온이 먼저 앞서면 블록을 더 낮춰 ‘언더’ 페이스 잠금 가능.

VAR/PK·퇴장 등 게임 스테이트 급변 변수 관리 필요.

예상 경기 흐름


전반

호펜하임이 점유 54~58%로 우세하나, 우니온의 롱패스–세컨드 전환에서 첫 유효슈팅 선점 가능성.

안사의 배후 러닝 1~2회 고품질 찬스 예상.


후반

호펜하임 라인 간격 벌어지는 구간에 우니온 역습 효율 상승.

교체로 우니온이 속도 유지하며 스코어 관리 국면 진입.


예상 스코어


1-0 우니온 베를린 (차선 2-1 / 0-0)


최종 코멘트


전술적 상성은 ‘선수비 후역습’의 우니온에 유리합니다. 호펜하임의 원정 라인 관리·전환 방어 취약이 일리치–안사–케디라 축과 정면으로 맞물려, 적은 볼륨의 찬스라도 효율적으로 골로 연결할 확률이 높습니다. 홈 집중력까지 고려하면 우니온 우세 시나리오가 가장 설득력 있습니다.


추천 팁: 우니온 베를린 승, 언더 2.5 선호, 우니온 무실점 승 보조 고려(리스크 관리용)

좋아요
0
싫어요
0
좋아요0
싫어요0
K플레이의 픽스터 분석 카테고리 글
픽스터 분석 더보기 0/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