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바일 버전으로 보기

픽스터 분석(축구)

11월 22일 K리그 광주FC 울산현대

Lv.71 손흥민
2025.11.22
댓글0
좋아요0
조회0


홈팀 — 대전하나시티즌 

대전은 현재 리그 2위 유지라는 명확한 목표가 있어 동기부여가 매우 강합니다. 직전 전북전 패배로 분위기를 다소 잃었지만, 그 이전 흐름과 최근 공격 지표(최근 5경기 연속 득점, 다수 멀티 득점 경기)는 여전히 위력적입니다.


전술적 강점: 중원(이순민–김봉수)의 안정적인 수비형·전개 역할 덕분에 공격진(마사·에르난데스·주민규)이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며 전방 연계와 침투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마사는 2선에서 공간 침투와 패스 연결로 기회를 창출하고, 에르난데스의 측면 드리블·크로스·컷백, 주민규의 박스 내 마무리가 조합을 이룹니다.

수비 안정성: 최근 경기에서 멀티 실점이 줄어들며 수비 조직이 호흡을 되찾고 있습니다. 홈에서는 공격 템포를 올리되 수비 전환도 빠르게 이루어지는 편이라 역습 허용 빈도는 낮은 편입니다.

운영 포인트: 초반부터 중원을 장악해 측면 전환과 2선 침투로 박스 내 숫자를 만들고, 세트피스와 박스 확률 높은 장면에서 마무리하는 것이 유효합니다.




원정팀 — 강원FC 

강원은 최근 6경기 무승에서 벗어나 승리를 챙겼으나, 구조적 약점이 여전히 잔존합니다. 특히 주전 중앙 수비수 강투지의 경고 누적 결장은 수비 조직력과 제공권 싸움에서 큰 타격입니다.


전술적 약점: 강투지 공백으로 수비 라인의 리더십·커버링 타이밍·제공권 우위가 약화됩니다. 상대의 세트피스 및 크로스 상황에서 수적·공중 경쟁 우위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.

공격의 한계: 최근 3경기 연속 멀티 득점 실패로 결정력 저하가 두드러집니다. 원정에서 조직력 약화까지 겹쳐 박스 내로의 정확한 패스·마무리가 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.

현실적 전략: 실리적 수비 운영(낮은 블록)과 빠른 역습, 측면 크로스 위주 공격으로 한 방을 노리되, 중원에서의 볼 소유와 전진 패스가 제한될 수밖에 없습니다.



종합적으로 두 팀 전력·동기·결장 상황을 고려하면 대전의 우세가 합리적입니다. 중원 장악과 전방 기동성에서 대전이 앞서며, 강원은 결장으로 수비 안정성이 떨어져 실점 가능성이 높습니다.

좋아요
0
싫어요
0
좋아요0
싫어요0
K플레이의 픽스터 분석 카테고리 글
픽스터 분석 더보기 0/0